(1) 그람-슈미트 과정
V의 기저인 v1, v2, ..., vk가 있다.
v들은 정규직교기저는 아니지만, 정규직교기저로 만드는 방법을 그람-슈미트 과정이라고 한다.
V1 = span(v1) 이라고 할 때,
정규직교기저 u1 = v1 / ||v1|| 을 하면 구할 수 있다.
||u1|| = ||v1 / ||v1|| || = ||v1|| * 1 / ||v1|| = 1
그래서 {u1} 은 V1의 정규직교기저가 된다.
따라서, V1 = span(v1) = span(u1) 이다. (v1≠u1)
2차원으로 확장해서 정규직교기저를 구해보자.
V2 = span(v1, v2) 인데, u1도 v1과 같은 방향의 정규직교기저이기 때문에,
V2 = span(u1, v2) 라고 쓸 수도 있다.
그래프를 그려서, 평면 Rn이 있고, u1과 v1이 같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을 그려보자.
v2가 자홍색 벡터처럼 있다면, v1과 v2는 일차독립이고, v2는 v1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벡터이다.
v2를 u1과 완전히 직교한 벡터 y2로 만들면 이 벡터는 u1과 일차결합하여 V2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.
y2는 v1에 직교하는 벡터이므로, V1의 직교여공간이 된다.
식으로 표현해보면, v2 = x + y 이고, x ∈ V1 and y ∈ V1⊥ 이다.
x는 v2를 V1에 정사영한 값과 같기 때문에, x = projV1v2이 된다.
따라서, y2 = v2 - projV1v2
projV1v2 = (v2 ⋅ u1) u1 이므로,
y2 = v2 - (v2 ⋅ u1) u1
y2를 구하려면 위의 식을 활용하면 된다.
그리고, y2는 u1과 직교하기 때문에, span(u1, y2) = V2라고 쓸 수 있다.
1차원에서처럼 u2 = y2 / ||y2|| 를 해주면, 길이가 1인 정규직교기저 u2를 구할 수 있다.
따라서, V2 = span(u1, u2)가 된다.
V3로 확장해보자.
V3 = span(u1, u2, v3) 가 된다.
u1, u2가 평면을 생성하고, v3가 V2에 존재하지 않는다.
v3에서 정규직교기저 y3를 구하기 위해서는, v3에서 v3를 V2에 정사영한 projV2v3를 빼주면 된다.
y3 = v3 - projV2v3
projV2v3 = (v3 ⋅ u1) u1 + (v3 ⋅ u2) u2
y3 = v3 - (v3 ⋅ u1) u1 + (v3 ⋅ u2) u2
u3 = y3 / ||y3||
V3 = span(u1, u2, u3) 가 된다.
V4로 확장하면 똑같다.
y4 = v4 - projV3v4
이를 활용하여 y4를 구할 수 있다.
u4 = y4 / ||y4||
V4 = span(u1, u2, u3, u4)
이렇게 기저에서 정규직교기저를 구하는 과정을 그람 슈미트 과정이라고 한다.
'선형대수(Linear Algebra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7-9. 그람 슈미트 예제2 (0) | 2023.06.16 |
---|---|
17-8. 그람슈미트 예제 1 (0) | 2023.06.15 |
17-6. 직교기저변환은 각도와 길이를 보존한다 (0) | 2023.06.13 |
17-5. 직교기저 변환행렬을 이용하여 변환행렬 구하기 (0) | 2023.06.12 |
17-4. 정규직교기저 활용 예시(정사영 계산) (0) | 2023.06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