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(1) 영공간의 직교보공간(직교여공간)
행렬 A가 있다.
이전 글에서 행공간은 열공간의 전치와 같다고 했다.
따라서, C(AT) = R(A)라고 할 수 있따.
그리고 C(AT)⊥ = N(A) 와 같다고 했다.
또한, C(A)⊥ = N(AT) (열공간의 직교여공간은 좌영공간과 같다)
14-5에서 다룬 것처럼 ⊥의 ⊥는 원래의 행렬로 돌아오기 때문에,
영공간의 직교여공간은 어떻게 될까?
N(A)⊥ = (C(AT)⊥)⊥ = C(AT).
즉, A 영공간의 직교보공간은 A의 전치의 열공간과 같다.
좌영공간의 직교여공간은 어떻게 될까?
N(AT)⊥ = (C(A)⊥)⊥ = C(A)
즉, A 좌영공간의 직교보공간은 A의 열공간과 같다.
정리하자면, N(A) = R(A)⊥ 이고, R(A) = N(A)⊥ 이다.
N(AT) = C(A)⊥ 이고, N(AT)⊥= C(A) 이다.
글로 풀어서 써보면,
영공간은 행공간의 직교보공간이고, 행공간은 영공간의 직교보공간이다.
좌영공간은 열공간의 직교보공간이고, 열공간은 좌영공간의 직교보공간이다.
꽤나 훌륭한 대칭이다.
반응형
'선형대수(Linear Algebra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4-8. (예제) Ax=b의 유일한 행공간의 해 (0) | 2023.05.11 |
---|---|
14-7. Ax=b의 유일한 행공간의 해 (1) | 2023.05.10 |
14-5. 직교보공간의 직교보공간 (0) | 2023.05.08 |
14-4. Rn의 원소를 V와 직교여공간으로 나타내기 (0) | 2023.05.04 |
14-3. 부분공간 V와 퇴화차원의 관계 (0) | 2023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