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/기초

2. 파이썬의 자료형 (숫자형, 문자형)

frcn 2019. 9. 18. 21:19
반응형

0. 주석

 

1) #을 사용함

#한줄만 주석

 

2) 쌍따옴표(") 또는 작은따옴표(') 3개를 사용함.

"""
여러줄 주석처리
여러줄 주석처리
"""




1. 숫자형 자료형

a = 7
b = 3

#사칙연산
a+b 	#10
a-b 	#4
a*b 	#21
a/b 	#2.333

#a의 b제곱
a**b 	#343

#나머지만 반환
a%b 	#1

#나누고 소수점 아랫자리는 버리기
a//b 	#2

 

 

 

2. 문자열 자료형

 

1) 문자열 만들기

 

4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

작은따옴표(' '), 큰따옴표 (" "), 큰따옴표3개 쓰기 (""" """), 작은 따옴표 3개쓰기 (''' ''')

a = 'It is nice to meet you.'
#기본적으로 ''나 ""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한다


b = "It's nice to meet you." 
#작은 따옴표가 문장 중간에 들어가게 되면 큰따옴표를 사용한다.


c = '"It is nice to meet you" he said' 
#큰 따옴표가 문장 중간에 들어가면 작은따옴표를 사용한다.


d =	'''It is nice to meet you
	 Hahaha
	 And you?
	 '''
# 작은 따옴표 3개나 큰 따옴표 3개는 문장이 여러줄이며, 
# 중간에 엔터가 들어가서 줄바꿈이 일어날때 사용한다



2) 문자열 연산하기

first = "Nice"
last = "to meet you"


first+last 		# Nice to meet you
first * 2  		# NiceNice

 

 

3) 문자열 인덱싱

a="Nice to meet you"


#0부터 시작함.
a[0] 		#N
a[5] 		#t


#거꾸로 읽기
a[-0] 		#N 	-0은 0과 같다
a[-2] 		#o 	뒤에서 두번째 글자는 o


#문자열 슬라이싱
a[0:4] 		#Nice 0<=x<4까지의 글자를 뽑아낸다. (4번째 글자는 선택되지 않는다는 뜻)
a[5:] 		#to meet you 5번부터 끝까지 불러온다


#문자열 수정
a='Pithon' 			#python으로 수정을 하려면
a=a[:1]+'y'+a[2:] 		#이렇게 수정해야함

				#a[1]=y 이렇게 수정할 수는 없음

 

 

4) 문자열 포매팅

#1. 숫자 바로 대입
print('I eat %d apples' %3)


#2. 문자열 바로 대입
print('I eat %s apples' %"five")


#3. 변수로 대입
num=3
day='three'
print('I eat %d apples and %s breads' %num)

%s = 문자열 (string)
%c = 문자1개(character)
%d = 숫자 (integer)
%f = 소수점 표현(float)
%% = 문자 % 그자체


5) 정렬

%10s 		#10개의 문자열 공간을 생성, 오른쪽 끝에서부터 채움
%-10s 		#10칸 생성, 왼쪽 끝에서부터 채움

%0.4f 		#소수점 4자리까지 표현
%10.4f 		#10칸짜리 공간 생성, 소수점은 4개만 표현.



6) 문자열 관련 함수 정리

a = 'hobby'


a.count('b') 		#b의 개수 세기

a.find('b') 		#b의 위치 찾기. (제일 앞의 b를 찾게 됨). 만약 문자가 없다면 -1을 반환

a.index('b') 		#b의 위치를 찾음. 만약 문자가 없다면 오류 반환

b=','
b.join('abcd') 		#각 문자 사이에 변수 a값을 삽입. a,b,c,d

a.upper() 		#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

a.lower() 		#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

a.lstrip() 		#왼쪽 공백 제거

a.rstrip() 		#오른쪽 공백 제거

a.strip() 		#양쪽 공백 제거

a.replace('hobby','sports') 	#문자열을 변경

a.split() 		#공백을 기준으로 분리
a.split(',') 		#,를 기준으로 분리

 


7) format함수

  • 인덱스 번호를 이용. { }
num=3
day='three'
'I eat {0} apples and {1} breads'.format(num, day)

 

  • 이름으로 넣기
'I eat {num} apples and {day} breads'.format(num=3, day=three)

 

  • 두개 혼용도 가능. 인덱스+이름
num=3
'I eat {0} apples and {day} breads'.format(num, day='three')

 

  • 왼쪽정렬
"{0:<10}".format("hi")

#'hi      '

 

  • 오른쪽정렬
"{0:>10}.format("hi")

#'        hi'

 

  • 가운데정렬
"{0:^10}.format("hi")

#'    hi    '

 

  • 공백채우기
"{0:=^10}.format("hi") 
#====hi====


"{0:!<10}.format("hi") 
#hi!!!!!!!!

 

  • 소수점 표현하기
"{0:0.4f}".format(3.1234567) 
#3.1234


"{0:10.4f}".format(3.1234567) 
#10칸만들고 소수점 4자리까지 표현

 

반응형